(모교소식) 이지훈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 저비용 고효율 수소생산 위한 새로운 마이크로 클러스터형 Ru 도핑된 구리-망간-붕소-인 전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총동문회사무국 댓글 0건 조회 240회 작성일 24-08-22 10:30본문
이지훈 교수(전자공학과) 연구팀, 저비용 고효율 수소생산 위한 새로운 마이크로 클러스터형 Ru 도핑된 구리-망간-붕소-인 전기촉매 개발
- 열수증착 및 침지보조법 통한 Ru 도핑방식 적용 제조된 새로운 마이크로 클러스터형 전기촉매 구현 -
- 국제 저명학술지 Elsevier 출판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IF:9.4)’ 논문 게재 -
모교 이지훈 교수 연구팀(전자공학과)은 임술삼 연구원(제1저자)과 함께 열수증착 및 침지보조 방식을 통한 Ru 도핑 방식 적용 제조된 새로운 마이크로 클러스터형 Ru 도핑된 구리-망간-붕소-인 (Ru/CuMnBP) 전기촉매 구현을 세계 최초로 성공하였다.
(좌) 임술삼 연구원(우) 이지훈 교수

새로운 이중 기능 Ru/CuMnBP 미세 입자 전기촉매 전체 물분해 응용을 위한 열수 반응 및 Ru 침지 접근법 개략도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024)
연구진은Shusen Lin (연구원, 광운대 제1저자), Rutuja Mandavkar (박사과정, 광운대), Md Ahasan Habib (박사과정, 광운대), Sumiya Akter Dristy (박사과정, 광운대), Mehedi Hasan Joni (박사과정, 광운대), Jae-Hun Jeong (연구교수, 광운대-교신저자), Jihoon Lee (교수, 광운대 - 교신저자)이며, 광운대 단독연구로 진행되었다. 임술삼 (Shusen Lin) 연구원은 2019년 광운대 전자과 석박통합과정으로 입학하여, 현재 광운대 나노소자 중점연구소 박사후 연구원이다. 임술삼 연구원은 현재까지 다양한 분야의 연구에 참여하여, 다수의 논문을 출판하였다.
임술삼 연구원은 연구원 기간 중, 우수한 연구 성과를 추가적으로 발표하여 본국 우수 대학에서 후학 양성 및 연구를 이어가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과 교육부가 추진하는 Brain Korea 21 Plus (BK-21 ), 중점연구소 사업 및 광운대학교의 지원으로 수행되었고, 연구 결과는 과학전문지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JCR IF: 9.4) 2024년 8월에 “Fabrication of Ru-doped CuMnBP micro cluster electrocatalyst with high efficiency and stability for electrochemical water splitting application at the industrial-level current density”의 제목으로 게재되었다.
한편 이지훈 교수팀은 에너지 효율성이 높으며 성능이 우수한 에너지 소재, 메타표면 기반의 다양한 나노소재, 광전자 디바이스 및 시스템 기술 연구 등을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까지 170여 편의 SCI JCR 상위 rank 논문을 출판하고 있다. 이지훈 교수는 세계 저명 출판사의 SCI 저널지 Assistant Editor 및 Editorial Board직을 비롯해 다양한 SCI급 국제저널의 Guest Editor직을 수행하며 동시에 국제 컨퍼런스의 다양한 커미티 및 오거나이즈직도 맡고 있다. 또한 Advanced Materials (IF 27.4), Nano Energy (IF 16.8),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8.5), 지외 30여 SCI 저널지의 리뷰어로도 지난 2여 년간 활동 중이다.
* Publication Web link : https://doi.org/10.1016/j.jcis.2024.08.009
출처 : 광운대학교 최신연구성과 (kw.ac.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